Customer Value Proposition, 그리고 Narrative Test
필자는 2009년 초 부터 본격적으로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에 대한 해외 석학의 논문을 탐독하고 발표 시점 부터 모으는 작업을 해왔다. 비즈니스 모델을 키워드로 하는 논문의 본격적 발표는 사실 전자상거래(E-Commerce) 또는 이비즈니스(E-Business) 기반 사업자들이 대거 등장하던 90년 대 초반부터 경영학자들에 의해 다수 진행되기 시작했다.
이들 기업은 기존 브릭 앤 모타르(Brick and Mortar, 브릭 앤 모타르는 전통적 ‘굴뚝 기업’을 의미) 기업과 달리, 90~91년에 프라이스라인닷컴(Priceline.com)이나 아마존(Amazon.com)의 등장처럼 전통적인 오프라인 매장에 기반하여 고객을 끌어들이기 보다는 온라인으로 물건을 판매하면서 새로운 수익모델을 만든 점에서 관심대상으로 부상했다. 특히, 프라이스라인닷컴은 최초의 ‘역경매 모델’로 호텔을 예약할 수 있도록 지원했는데, 고객이 호텔에서 제시하는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목적지와 투숙기간, 예산(비용)을 지정하면 지역 호텔이 입찰에 참여하여 고객이 선택하게 하는 새로운 매커니즘으로 미국에서는 최초로 비즈니스 모델이 특허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후 비즈니스 모델 또는 사업모델 특허가 전자상거래 및 … [visit site to read more]
The post 스타트업, 린 비즈니스 모델(Lean Business Model)이 필요하다 appeared first on VentureSqu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