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과 카카오톡 서비스의 중국 내 차단은 테러 관련 내용을 담은 메시지 유통 때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 측이 글로벌 메신저 산업의 패권 다툼이 시작된 상황을 고려해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7일 미래창조과학부는 라인·카카오톡 중국 서비스 장애 관련 브리핑을 갖고 “라인과 카카오톡 차단 이유를 중국 측에서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지난달 1일 중국 내 서비스가 차단된 라인과 카카오톡은 현재까지 서비스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끊임없이 중국 정부 개입설이 흘러나왔지만 그동안 공식 발표는 없었다.
이진규 미래부 인터넷정책관은 “서비스 차단 초기부터 중국 정부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시도해 왔다”며 “중국 정부의 서비스 차단 대상은 외국계 메신저 중 실제 테러 관련 정보 유통이 확인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인과 카카오톡에서 유통된 테러 관련 정보는 이슬람 국가에서 발신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부 설명에 따르면 라인과 카카오톡 외에도 ‘디디(Didi)’ ‘토크박스(Talkbox)’ 등 다수 서비스가 현지에서 장애를 겪고 있다. 라인과 함께 글로벌 메신저 패권을 다투는 와츠앱은 테러 … [visit site to read more]
The post 미래부 “라인·카톡 中 서비스 장애는 테러 정보 유통 때문” appeared first on VentureSquare.